과학기술의 발전은 디테일에서 시작된다
KAIST 임용택 교수가 말하는
21세기 대한민국 과학기술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길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UC버클리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30년 동안 KAIST 기계공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쳐온 임용택 교수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기계전문위원과 KAIST 국제홍보처장, 대외협력처장, 글로벌협력본부장,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등 그동안 경험했던 학교 행정 업무에 대한 이야기를 학교 및 조직 경영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을 위하여 상세히 풀어낸 책 『디테일 경쟁 시대』를 출간한다.
우수한 연구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된 조직에서 저자는 사소해 보일 법한 일들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고 판단했다. 새로운 연구 분야 개척을 위해 인력을 충원하고, 평가에 공정을 기하며, 정보 교류에 투명성을 강화하는 등 개혁의 중심을 놓치지 않았던 순간들이 원고에 담겨 있다. 개혁이란 거대한 문제가 아닌 자그마한 변화에서 시작된다는 신념으로 저자는 한국기계연구원에 연구부원장과 행정부원장 제도를 도입해 조직 개편을 단행하였고, 안전관리 시스템을 개선하였으며, 연구 현장에 필요한 안전 교육 및 시기별 취약 요인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등 새로운 제도의 도입을 망설이지 않았다. 이외에도 경상비 확보를 위한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대응과 개방적인 토론식 회의 문화를 권장하고, 전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연구관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선했으며, 유치원이나 외국인학교 등 유능한 인재들이 안심하고 연구에 임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도 앞장섰다. 이와 더불어 저자는 정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적 전략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역설하고, 대학 지원 시 우선순위를 명확히 할 것을 제언한다.
저자는 우리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기술의 발전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람과 조직을 연결하는 사회적 기술의 발전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일깨워준다. 저자가 소개하는 KAIST와 한국기계연구원의 실제 사례들은 이해하기 쉬우며, 대학 교육의 나아갈 길이나 우리나라 과학 육성에 대한 저자의 포부는 과학 분야뿐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 책은 KAIST의 운영 방식이나 후학 양성에 관심이 높은 독자들이나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에게 과학 교육의 진행 상황을 알려주고, 정책 입안자들의 행정 및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저자 소개
저자 : 임용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기계설계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버클리대학교 대학원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 후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공과대학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조교수를 역임했고, 1989년 한국과학기술대 조교수로 부임했다. 1996년 에어랑겐대학교 생산공학연구소 훔볼트 팰로우 과정을 거쳤고, 2000~2002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계전문위원을 지냈으며, 2007~2011년에는 KAIST 홍보국제처장, 대외협력처장, 글로벌협력본부장 등을 맡아 과학기술 교육과 연구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2014~2017년 한국기계연구원 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로 후학 양성과 정밀제조업 분야 발전에 힘쓰고 있다.
2019년 기계공학 분야 연구와 개발, 후학 양성, 국제화, 정부출연연구기관 운영 등을 통해 국가산업 경쟁력 발전에 다양하게 이바지한 공로로 청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목 차
글을 시작하며 | 과학기술의 발전은 디테일에서 시작된다
1장 KAIST,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발전 한가운데 서다_ KAIST가 아시아 최우수대학으로 선정되기까지|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질적 평가가 확대되어야 한다|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대학 평가 시스템|고등교육 재정 지원 강화에 대한 고민|대학 투자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
2장 재정과 대학 운영의 긴밀한 관계_ 연구중심대학과 대학 재정의 중요성|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대학을 만든다|대학 지원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KAIST 세계연구중심대학총장회의
3장 신규 사업에 대한 시도는 계속된다_ 과감한 도전은 또 다른 도전을 낳는다|자기부상열차 사업의 핵심 과제|환경문제와 직결되는 최신 교통수단, 자기부상열차|자기부상열차 사업의 성장과 부침|발전에는 모험이 필요하다
4장 대학에도 적용 가능한 조직 경영의 핵심 과제_ 구성원과의 정보 공유가 주는 동기 부여 효과|연구 환경의 변화를 위한 기관장의 역할|기관 내부의 투명성 개선 방법|연구와 행정을 분리해 업무 효율을 높인다|총액인건비제도와 임금피크제의 활용
5장 지속적인 과학기술 발전 전략_ 정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적 전략의 필요성|연구자와 정책 당국의 연결고리가 중요하다|지구 환경을 개선해 후손에게 물려주는 문제|과학기술 개발 전략에 대한 사고의 변화|지속 가능한 성장의 동력|사소한 일에서 시작되는 큰 변화
6장 과학기술 발전을 향한 국제 협력의 현장_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연구 결과의 공유와 상호 인정|세계적 연구기관과의 연구원 교류를 통한 발전 가능성|사람과 사람 사이, 작은 인연에서 시작되는 국제 협력|국제 협력을 통한 정책의 연속성과 효율성|연구 성과로 이어지는 학회 발전 방안
7장 작은 문제도 소홀히 하지 않는 연구 환경 개선 문제_ 교육은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의 사다리가 되어야 한다|연구원의 안정을 위한 외국인학교와의 협력|구성원과 함께 발전시킨 대학 캠퍼스|캠퍼스, 화려하지는 않아도 편리한 공간을 만든다|새로운 규칙으로 개선시킨 연구원 주차 환경
8장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한 연구원 생활의 안정화_ 연구 환경 변화의 시작|우수 인력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연구소|연구원들과의 화합과 상생|우수 인재 영입을 위해 교육, 연구, 주거의 변화가 필요하다|연구자의 자긍심과 사회의 아량|인생을 행복하게 잘 영위해나가는 방법
9장 연구를 위한 물적·인적 안전 확보_ 건물의 뼈대부터 시작되는 안전관리|사고로부터 안전해지는 현명한 방법|토론식 회의 문화가 가져온 경상비 절감|투명 경영 실천과 연구소의 발전
10장 대외 홍보의 중요성_ 기관 경영, 적극적인 외부 홍보가 필요하다|학교를 대표하는 언론의 탄생|방문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줄 기관 홍보 방안|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쉽게 전달하는 방법을 고민하다
11장 학문의 근간은 변하지 않는다_ 한국기계연구원을 향한 슈뮈커 박사의 섬세한 기록과 성찰|제조업은 없어지지 않는다. 다만 제조 방법이 달라질 뿐|제조업의 새로운 도약|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 발전|한국 과학기술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길
출판사 서평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고 인구가 5천만 명 이상인 국가를 ‘3050클럽’이라 칭하는데, 우리나라는 2018년에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진입했다. 이제부터는 제도를 도입하는 것만이 아니라 제도가 합리적이고 실용적으로 유연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섬세하게 살펴 보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하이오주립대, 한국과학기술원(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KAIST), 한국기계연구원 등에서 33년간 일하면서, 진정한 국가 발전은 물리적 기술의 발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깨달았다. 더욱이 출산율 저조에 따른 사회·경제·문화적인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안 중 하나가 정밀 제조업의 성장과 국제화를 통한 지속적인 경제성장이다. KAIST와 한국기계연구원과 같은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물리적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술을 동시에 발전시켜 우리나라가 과학기술 강국이 되길 꿈꾼다.
―「글을 시작하며」 중에서
일방적인 잣대로 줄 세우는 식의 평가는 곤란하다. 기계연과 같은 출연연의 평가 시스템은 연구, 공공, 행정 서비스의 세 분야가 같이 이루어져야 하며, 상대 평가보다는 질적 평가가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행정과 공공 서비스 부문과 연구 영역에서 이바지하는 구성원들의 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질적 평가가 확대되어야 한다」 중에서
세계경제포럼의 국가 경쟁력 순위가 2011년 24위에서 2017년 26위로 하락하는 동안, 대학 시스템의 질은 55위에서 81위로 급락했다. 한강의 기적은 교육에서 비롯된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도 잘 훈련받은 인력이 공급되어야 이룰 수 있다. 교육 목적에 맞게 고등교육 재정 지원을 강화할 방안이 시급한 이유다.
―「고등교육 재정 지원 강화에 대한 고민」 중에서
냉전시대에 미국 정부는 국방을 강화한다는 명목으로 컴퓨터, 전자공학 등이 강한 대학을 지원했다. 최근에는 생명과학이 강한 대학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는 모든 대학을 균등하게 지원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 분산 투자 방식으로는 연구중심대학을 만들기가 어렵다. 21세기를 대비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연구중심대학이 필요하고, 잘하는 대학을 집중적으로 밀어줘야 한다.
―「대학 지원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중에서
각 분야에서 문제의 본질을 좀 더 잘 들여다보고 허울보다는 명분과 실리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사소해 보이는 것부터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원칙을 지키면 최소한 손해는 보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테일을 챙겨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과 연구 시스템을 선진화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과학기술 개발에 매진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기술 강국이 되는 것만이 인생을 행복하게 영위해나갈 수 있는 길이 아닐까?
―「인생을 행복하게 잘 영위해나가는 방법」 중에서